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 1. 자재 선정 중요성

건축 자재는 단순히 마감의 문제가 아니다.
디테일, 구조, 비용, 공정 전반에 걸쳐 설계를 좌우한다.
특히 ‘실시설계’ 단계에선 자재 특성과 시공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단면 디테일이 필수다.


🔧 2. 자재 선정 시 고려해야 할 공통 요소

항목설명
물성적 특성 강도, 내화성, 단열성, 흡음성 등
시공성 현장 가공 여부, 공정 난이도, 숙련도
공사비 자재 단가, 부자재, 시공 단가 포함한 전체 원가
내구성/유지관리 유지보수 용이성, 오염·손상 저항성
디자인 적용성 재질감, 색상, 패턴, 물성 기반 형태 구현 가능성

🧱 3. 주요 자재별 특성과 디테일 설계 시 주의사항


📌 1) 경량철골 (Light Gauge Steel)

용도: 임시구조물, 내부 칸막이, 일부 상업시설 외피
형태: C형, U형 단면 / 냉간성형 가공

  • 특성:
    • 강도에 비해 가볍고 시공 속도가 빠름
    • 용접보단 앵커, 볼트 조립 위주
    • 불연재로 화재 안전성이 우수
  • 디테일 고려사항:
    • 단열재와의 접합부 방습 설계 필수 (결로 위험)
    • 석고보드/패널 부착 시 보강부 위치 확인 필요
    • 수직 하중보다 횡하중 대응이 취약하므로 수평 브레이싱 적용 필요

📌 2) ALC 블록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용도: 비내력 외벽, 칸막이, 상부 단열 보강
형태: 기성 규격 블록 (예: 600×200×100mm)

  • 특성:
    • 고강도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시공이 빠름
    • 뛰어난 단열/방음 성능
    • 흡수율이 높아 방수층 연계 필수
  • 디테일 고려사항:
    • 앵커 고정력 약함 → 매립철물, 앵글 보강 필요
    • 창호 접합부 등 개구부에 균열 발생 주의
    • 몰탈 줄눈의 수축으로 인한 크랙 방지 조치 필요

📌 3) 적벽돌 (Clay Brick)

용도: 외벽 마감, 포인트 월, 조적 구조물
형태: 전통 조적형태 / 세라믹 마감재 대체 불가

  • 특성:
    • 높은 내구성, 오랜 시간 색상 유지
    • 시공 속도는 느리나 질감 표현 우수
    • 유지보수 용이
  • 디테일 고려사항:
    • 벽돌 줄눈에서 누수 및 백화 현상 발생 가능
    • 조적 시 철물 보강 필요 (특히 3m 이상 높이)
    • 구조체와의 이격(Expansion Joint) 고려 필요
    • 철물고정에 의한 도열방지 조치 필요

📌 4) 알루미늄 커튼월 (Aluminum Curtain Wall)

용도: 고층 빌딩 외피, 입면 마감, 주상복합
형태: 스틱 시스템, 유닛 시스템 등

  • 특성:
    • 경량 고강도, 외관 디자인 자유도 높음
    • 공장에서 사전 제작 가능 → 품질 균일
    • 방수/기밀 성능 확보 시 고성능 외피 구현 가능
  • 디테일 고려사항:
    • 수밀 및 기밀 확보를 위한 실란트 및 EPDM 부재 체크
    • 단열 브레이크(thermal break) 적용 여부 확인
    • 창호, 슬래브와의 접합부 단면 상세화 필수
    •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차열 바 인서트 적용

🧰 4. 실무에서의 팁

  • 도면 작성 시 반드시 단면 상세(CAD or BIM)로 표현
  • 자재 간 접합부의 물리적/열적 성질 차이 고려
  • 시방서 + 설계도면 + 시공 디테일 3종 연계 확인
  • 공사 전 Mock-up 설치를 통한 검증 적극 활용

✍️ 마무리

건축 자재는 디자인의 표현 수단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구조와 성능의 핵심이다.
단순히 외형만 고려하지 말고, 시공성과 접합 디테일까지 완성도 있게 설계하자.
실시설계에서 자재의 이해는 결국 현장 오류를 줄이고, 결과물을 책임지는 설계자의 무기가 된다.


 

728x90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