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건축설계 실무지식
구조평면도, 이렇게 보면 쉽다!
성하다
2025. 4. 13. 09:10
728x90
반응형
구조평면도, 이렇게 보면 쉽다!
― 건축 설계도 속 '골조의 언어'를 읽는 법
👀 구조평면도란?
구조평면도는 건물의 뼈대를 나타내는 설계도야.
기둥, 보, 슬래브, 벽체 등 구조체의 위치와 크기, 형상, 연결방식 등을 보여줘.
건축도면 중에서도 특히 안전과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지.
🧩 구조평면도 보는 법 — 다이어그램으로 쉽게 보기!
1. 🔲 기둥 (Column)
- 평면상에서 보통 직사각형이나 원형 박스로 표현돼
- 옆에 C1, C2 같은 번호와 **치수(예: 400×400)**가 함께 써있어
- 이 기둥들은 하중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역할
👉 기둥이 없는 공간은 개방감이 크지만, 구조적으로 약할 수 있어!
2. ➖ 보 (Beam)
- 보통 굵은 선이나 이중선, 또는 점선으로 표현돼
- **보 이름(예: B1, B2)**과 **단면 정보(예: 250×600)**가 같이 표기됨
- 보는 슬래브에서 오는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해줘
👉 보가 지나는 곳은 천장고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실내 디자인에도 중요해!
3. 📐 구조 치수 & 기준선
- 기둥 간 거리, 보 길이 등은 **치수선(Dimension Line)**으로 확인
- 구조 기준선(보통 ‘1, 2, 3’ or ‘A, B, C’ 격자선)으로 공간을 구분하고 위치를 파악함
👉 이 기준선을 통해 도면 상에서 위치를 말할 수 있어.
예: “기둥 C2는 2번라인과 B라인 교차점에 있다.”
4. 🧱 내력벽 및 특수구조
- 구조평면도엔 **내력벽(Load Bearing Wall)**이 별도로 표시되기도 해
- 콘크리트 벽, 전단벽, 이형기둥 등도 따로 기호나 패턴으로 표현됨
👉 도면 아래 ‘도면기호설명(LEGEND)’란에서 확인할 수 있어!
🔍 구조평면도 Tip (실생활 적용)
- 🏠 아파트 리모델링할 때: 철거 가능한 벽인지 아닌지 판단 가능
- 🏢 상가 인테리어할 때: 천장 안 구조물 위치 파악에 필수
- 👷♂️ 현장 시공 시: 정확한 배근 위치, 타설 순서 확인 가능
📌 마무리: 도면도 '언어'다
처음엔 기호와 숫자가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구조평면도는 건물이 말하는 구조적 언어야.
조금만 익숙해지면, 건물의 '뼈대'를 눈으로 읽을 수 있어.
728x90
반응형